어느덧 싸피 12기 1학기가 지나가고 잡페어 기간이 되었다.

 

그동안 바쁘다는 핑계로 계속 미루던 SSAFY 12기 비전공자 합격 후기를 적어보고자 한다!!

 

 

 

 

 

SSAFY란?


 

Samsung Software Academy For Youth 약자다.

 

 

삼성과 고용노동부가 크로스!  해서 개발 교육도 시켜주고,

 

 

취업박람회, 취업교육 등 취업도 지원해준다

 

 

거기다 지원금까지 ...

 

 

 

외쳐 God싸피!

 

 

 

 

 

 

 

나의 스펙


 

나이

20대 후반

 

경력

공무원으로 2년 반정도 근무했었다.

 

전공 (비전공자)

컴공 혹은 프로그래밍과 관련 없는 공대생이다! 

 

관련 공부 경험

  1. 학부시절 1학기정도 파이썬을 배웠다.

    하지만 이미 8년 전이라 기억이 전혀 나지 않음.

    벌써 8년 전이라니...


  2. 교양 수업으로 C언어도 배웠다.

    하지만 이것도 5년 전이라 전혀 기억 안남.

 

프로젝트 경험

전혀 없음

 

 

 

 

 

 

SSAFY 지원한 이유


나는 내가 더 흥미를 느끼고 좋아하는 일을 하고 싶었다.

 

그런 고민을 하던 중 개발이라는 분야를 알게 되었고, Java로 1개월 정도 맛본 후

 

개발자가 되어 일하겠다는 마음을 먹었다.

 

 

 

비전공자가 개발자로 일하기 위해서는 보통 부트캠프, 국비지원교육을 듣게 되는데,

 

컴공을 졸업한 지인이 SSAFY를 통해 졸업 후 취업까지 했다는 얘기와 함께

 

비전공자에겐 SSAFY만한 게 없을 거라는 얘기를  나에게 해주었다.

 

그렇게 SSAFY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찾아보니 나에게 아래의 특징들이 나에게 특히 장점으로 느껴졌다.

 

  1. 비교적 긴 교육기간(1년)
    기초 지식이 없는 만큼, 더 탄탄하게 공부하고 싶었다. 
    보통 부트캠프는 6개월 동안 수업 + 프로젝트까지 하기 때문에 깊이가 부족할 것이라는 걱정이 많았다.
    하지만 SSAFY는 교육(1학기)+프로젝트(2학기)로 그만큼 깊이 공부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2. 풍부한 프로젝트 경험
    2학기에 총 3개의 프로젝트 경험을 할 수 있다.
    취업 시 프로젝트 경험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아무래도 한 두개의 프로젝트는 말 할 거리가 부족할 수 있다.
    SSAFY에서는 3번의 프로젝트 경험을 쌓고, 요즘 IT 트렌드에 맞춘 프로젝트 주제가 주어지기 때문에 더 양질의 경험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3. 지원금
    사설 부트캠프는 보통 돈을 지불하고 교육을 받는다. 물론 무료로 받을 수 있는 다른 부트캠프도 있지만,
    돈을 받으며 공부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은 정말 거의 없다.
    취업 준비 기간에는 수입이 없기 때문에 월 100만원(+ 지방캠퍼스 30만원)은  매우 소중하다!!!!!!!!!!!!!!!!!!!!!!!!!!!!!!

 

 

SSAFY 지원 과정


원서접수를 제외하면 크게 2개로 나누어진다.

 

1. SW적성진단 + 에세이

 

2. 인터뷰 (면접)

 

 

나는 자격증이나 시험을 보기 전에 항상 공부 전략을 먼저 세운다.

 

전략을 세우기 위해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데,

정보는 보통 이미 합격한 선배들의 합격 수기를 보고 공통되는 부분,

 

내가 실행할 수 있는 부분 등을 골라낸다.

 

 

 

1. SW적성진단 + 에세이

 

(1)  SW 적성진단 

 

우선 SW 적성진단은

 

GSAT에서 볼 수 있는 수/추리 논리력 진단 파트와 CT(Computational Thinking) 파트로 나누어 출제되기 때문에

 

두 가지 모두 공부해야 한다. CT는 쉽게 나오기 때문에 따로 준비하지 않고도 잘 풀었다는 후기를 많이 봤는데,

 

난 둘다 어려워서 공부가 필요했다.

 

 

 

 

나는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도전하는 만큼, 반드시 SSAFY에 붙겠다는 마음이 강력했다.

 

적성검사 관련 공부를 했던 경험이 전혀 없었고,

 

정보를 수집하면서 SW적성진단이 에세이보다 좀 더 중요하겠다는 생각(개인적인 추측일 뿐입니다!)에

 

추려진 책 3권을 모두 풀었다..! (무려 각 3회독 이상)

 

 

 

맨 처음엔 에듀윌 SSAFY를 사서 풀었는데, 책이 해당 시험에 딱 맞춰 만들어져서 좋았다.


그런데 책을 5회독까지 하다 보니 풀이가 외워져서 문제 앞 부분만 봐도 답과 풀이가 생각났다.

 

더 이상 푸는 의미가 없다고 판단해 GSAT를 추가 구매해 3회독 했다.

 

GSAT만 보다 보니 수/추리는 대비가 되는데 CT 대비가 부족하다고 판단되어

 

해커스의 SSAFY 책을 추가 구매해 또 여러번 풀었다.

 

문제를 풀 땐 스탑워치로 수/추리는 1분 안에, CT는 세트당 8분 이내 다 풀지 못하면 틀린 것으로 간주했고,

 

틀리거나 확실하게 알지 못하는 것을 체크해 다음 회독 때 그것만 다시 보았다.

 

 

 

이렇게 보니 나 정말 많이 하긴 했네..??

 

 

 

 

 

결과적으로 책으로 시험을 준비한 것은 잘 했다고 생각이 든다.

 

그래서 책을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대략 추천해보자면,

 

SSAFY 책 먼저 여러번 풀어보고 유형별 풀이를 모두 익힌 다음,

 

시간이 남거나 공부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면 GSAT 책을 추가로 보는 것을 추천하겠다!

 

또 스탑워치로 시간을 재서 수/추리는 1분 이내 , CT는 1세트당 7분30초 이내 빠르게 푸는 연습을 반드시 하세요!

 

 

 

 

 

 

(2) 에세이

 

자소서를 쓴 경험이 전무했기에, 쓰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기 자신에 대해 진지하게 알아가는 시간을 다시 한번 가져보는 것" 이다.

 

그래야 면접 때도 문제가 없다.

 

직장을 그만두면서 나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시간을 많이 가졌는데도

 

다시 정리하려니 힘들었다.

 

 

결과적으로 에세이에 내가 녹여낸 내용은 대략 아래와 같다.

 

- 왜 개발자가 되고 싶은지 (동기)

 

- 개발자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 공부를 했는지 + 노력했지만 부족하다고 느낀 점 (구체적으로)

   👉 그래서 SSAFY에서 부족한 점을 채우고자 지원했습니다~ 로 연결

 

- 많은 교육 중 왜 하필 SSAFY 여야만 하는지

 

- SSAFY에 들어간다면 어떻게 공부할지 or 어떤 프로젝트를 하고 싶은지

   👉 과거 공부 열심히 해서 성과 낸 것을 함께 어필했음

 

 

 

2. 인터뷰

 PT면접 + 인성면접으로 구성.

 

면접 스터디를 통해 준비했다.

 

스터디를 할까 말까 고민을 많이 했는데( I 특),

 

해보니 직접 말하는 연습이 확실히 도움 됐다.

 

내성적인 사람일수록 더더욱 큰 용기를 내 스터디에 참가해보는게 좋을 것 같다.

 

 

 

면접 스터디

 

장점

 

1. 사람들 앞에서 말해보는 연습이 된다 (최고의 장점)

 

2. 면접 준비를 더 열심히 할 수 있는 강제성이 부여된다.

 

3. 전공자의 시각, 타인의 시각에서 새로운 의견을 들을 수 있다.

 

4. IT관련 정보 수집 시 나눠서 할 수 있어 더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다.

 

단점

 

1.  오프라인의 경우, 이동 시간이 걸리고, 장소 섭외 비용도 발생한다.

 

2.  비슷한 수준의 스터디원이 모일 경우, 서로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1) PT면접

 

1. 다들 알다시피 강민혁 선생님의 Youtube를 반드시 먼저 보고 구조를 익히기!


https://www.youtube.com/watch?v=DOvCIrwMPbQ

 

무경험자인 나는 이 영상을 보고 익혀 실전에 활용했다.

 

스터디를 한다면 아마 누군가 이 영상을 올려줄 것이다. 아무도 올리는 사람이 없다면 

 

여러분이 직접 올리고 이대로 연습하자고 제안해보세요!

 

 

기가 막힌 아이디어를 내는 것보다 논리적으로 문제점, 해결방안, 해결방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까지 연결하는 것에 집중할 것.

 

 

 

 

2. IT 이슈, 지식 습득

 

면접에서 평소 IT 이슈나 요즘 핫한 기술들에 관심이 많음을 어필하는 것이 중요하다.

 

PT면접에서도 IT 지식이 있어야 해결책, 아이디어가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로그, IT 관련 뉴스기사를 찾아보기도 했지만,

 

나는 책을 빌려 본 것이 더 도움 되었다.

 

IoT, AIoT,  AI, 생성형AI, 로봇, 블록체인,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VR, XR, 메타버스 등등...

 

핵심 기술들의 특징, 장단점, 문제점, 해결방안을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