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Infra] Docker, Docker-compose 설치하는 법 (Ubuntu)
시스템 업데이트 sudo apt updatesudo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apt update : 최신 패키지 업데이트 사전 필수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software-properties-common 패키지ca-certificates : 서버가 HTTPS 통신할 때 필요한 공인 인증서들을 모아둔 패키지. 인증된 사이트(예: Docker 저장소)에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해 필요.curl: 명령어로 인터넷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요청을 보낼 수 있는 툴. Docker GPG 키나 설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할 때 사용.gnupg: 소프트웨어 설치 시 신뢰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전자 서명" 기능을..
2025.10.04
no image
[ubuntu] ufw (방화벽) 세팅하기
ufw 활성화 여부 체크 기본적으로 EC2 인스턴스 생성하면 방화벽 설정 꺼져있음. sudo ufw status를 통해 방화벽 설정 체크할 수 있는데, inactive라는 것은 방화벽 자체가 꺼져있다는 것. ufw 활성화 전 22번 포트 열기포트 열기 전 ufw 활성화해버리면, MobaXterm같은 툴로 해당 EC2에 ssh 접근이 불가능 함.따라서 ssh접근 가능하도록 최소한 22번 포트는 열어둔 후 → 방화벽 설정 켜야함!여기선 열어야 할 포트 모두 열고 ufw 활성화할 예정. sudo ufw allow 1. ssh로 접근하기 위한 22번 포트 열기 2. 웹서비스를 위한 http(80), https(443) 포트 열기 나머지 포트는??내가 만들 서비스는 80, 443, 22포트만..
2025.10.02
no image
MobaXterm 설치 & .pem 키로 접속하기
MobaXterm 설치하기아래 링크로 들어가 둘 중 아무거나 클릭하여 설치하기.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ome-edition.html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mobaxterm.mobatek.net pem키로 ssh 접속하기Session 클릭 SSH 클릭 host에 EC2 host pc url 입력Use private key 체크 후 .pem 파일 첨부OK 선택
2025.09.06
no image
[AWS] NACL 설정하기
NACL이란NACL ⇒ Network Access Control ListSubnet의 접근 제어를 관리한다! 문지기의 역할임은 보안 그룹과 비슷 보안 그룹과의 차이보안그룹이 인스턴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용도라면,NACL은 Subnet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용도이다! VPC, Subnet, 인스턴스 무슨 차이?VPC ⇒ Virtual Private Cloud 즉, 개인 당 주어지는 네트워크 공간이다. 아파트 단지 같은 개념Subnet ⇒ 네트워크 공간을 작은 네트워크 단위로 쪼갠 것. 아파트 한 동(101동, 102동..) 개념인스턴스 ⇒ 네트워크 공간을 사용하는 하나의 컴퓨터. 집 한 채(203호, 204호…) 개념 특징하나의 Subnet에 1개의 NACL만 할당 가능허용 규칙 & 차..
2025.09.05
[AWS] 보안그룹 설정하기
보안그룹이란?인스턴스로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트래픽 (인바운드)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아웃바운드)을 관리하는 문지기 같은 역할.프로토콜 유형, 포트, IP 등 지정 가능대표 포트번호: http - 80 ssh - 22 https - 443보안그룹 특징허용 규칙만 가능. 특정 IP만 비허용 불가.아웃바운드 규칙은 기본적으로 모든 트래픽 (0.0.0.0) 허용 상태.하나의 인스턴스에 여러 보안 그룹 설정 가능각 인스턴스에 여러 보안 그룹 할당 가능 (각 보안 그룹의 모든 룰 적용)한 번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통과한 트래픽은 아웃바운드/인바운드 규칙 적용 X ⇒ stateful 하다! ⇒ 즉, 아웃바운드를 전부 막아놔도, 인바운드에 443 포트 신호가 들어..
2025.09.04
백준 1655: 가운데를 말해요[Gold 2] / Java
백준 1655: 가운데를 말해요https://www.acmicpc.net/problem/1655 문제 설명숫자를 1개씩 입력으로 주어지는데,숫자가 주어질 때마다 그 숫자 집합에서 중간값을 출력해야 하는 문제이다. 내 정답 코드내가 생각한 로직은, 중간에 값을 삽입하기 용이한 자료구조인 리스트를 선언한 뒤, 수 입력이 주어질 때마다 정렬된 리스트에 들어가야 할 인덱스를 찾아 그 위치로 삽입하고 중간값을 출력하는 방식을 생각했다. 삽입 위치를 찾는 방식은 이분탐색을 구현하여 시간복잡도를 줄이고자 했다! /* * 숫자가 주어질 때마다 위치 찾아 삽입. * 삽입 위치 찾는건 이분탐색으로. * 중간값은 짝수->len/2-1 홀수->len/2 */public class Main { static Buffer..
2025.08.28
no image
EC2 인스턴스 생성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EC2 인스턴스를 생성했다. 보안 관련 설정은 추후 하기로 하고, 우선 EC2 인스턴스만 생성해봤다. 우선 AWS Console에 들어가 로그인 후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AMI 선택AMI: EC2 인스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보들을 모은 단위. OS를 어떤 것을 쓸건지, 소프트웨어는 어떤 게 설치되는지 등의 정보를 모아 EC2를 실행할 때 사용한다. 나는 Ubuntu 22.04를 선택했다. 인스턴스 유형 선택t3.small선택예상 요금 : 시간당 0.0209$ ⇒ 월 15$https://aws.amazon.com/ko/ec2/instance-types/ 클라우드 컴퓨팅 인스턴스 - Amazon EC2 인스턴스 유형 - AWS aws.amaz..
2025.08.27
no image
백준 16232: 아기상어[Gold 3] / Java
백준 16232: 아기상어https://www.acmicpc.net/problem/16232 문제 설명N×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 공간은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 크기는 자연수이다. 가장 처음에 아기 상어의 크기는 2이고, 아기 상어는 1초에 상하좌우로 인접한 한 칸씩 이동한다.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큰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없고, 나머지 칸은 모두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작은 물고기만 먹을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같은 물고기는 먹을 수 없지만, 그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있다.아기 상어가 어디로 이동할지 결..
2025.08.18
백준 3190: 뱀[Gold 4] / Java
백준 3190: 뱀https://www.acmicpc.net/problem/3190 문제 설명'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게임은 NxN 정사각 보드위에서 진행되고, 몇몇 칸에는 사과가 놓여져 있다. 보드의 상하좌우 끝에 벽이 있다. 게임이 시작할때 뱀은 맨위 맨좌측에 위치하고 뱀의 길이는 1 이다. 뱀은 처음에 오른쪽을 향한다.뱀은 매 초마다 이동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먼저 뱀은 몸길이를 늘려 머리를 다음칸에 위치시킨다.만약 벽이나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있다면, 그 칸에 있던 사과가 없어지고..
2025.08.14
no image
플로이드워셜(Floyd-Worshall) vs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및 속도비교 뿌수기!! (코테 박살난 기념)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했지만, 항상 다익스트라를 써야할 지,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을 써야할 지 고민하다가 다익스트라를 사용해왔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것.. 확실히 기억해두자. 문제는 백준 14938번 "서강그라운드" 를 가지고 풀어보겠다. 간단 요약하면, 가중치가 다른 양방향 간선 그래프가 주어지고, 각 노드별로 가중치가 주어진다. 여기서 거리가 M 이내인 모든 노드들의 가중치 총합의 최대값을 찾는 문제이다. 여기서 문제 풀이 핵심은, 임의 노드 i에서 j로 가는 모든 노드의 최단거리를 각각 구하는 것이다. 이 때, i에서 j로 가는 직행 루트가 없을 수 있기도 하고, 직행 루트보다 다른 곳을 거쳐 가는게 더 저렴할 수도 있기 때문에!! (1)..
2025.08.12

 

 

 

 

 

시스템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 sudo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apt update : 최신 패키지 업데이트

 

 

 

사전 필수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software-properties-common

 

 패키지

  • ca-certificates : 서버가 HTTPS 통신할 때 필요한 공인 인증서들을 모아둔 패키지. 인증된 사이트(예: Docker 저장소)에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해 필요.
  • curl: 명령어로 인터넷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요청을 보낼 수 있는 툴. Docker GPG 키나 설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할 때 사용.
  • gnupg: 소프트웨어 설치 시 신뢰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전자 서명" 기능을 제공하는 툴. Docker GPG 키를 확인하고 인증하는 데 필요해.
  • lsb-release: 서버가 어떤 리눅스 배포판 버전인지 (Ubuntu 22.04, 등)을 알려주는 유틸리티. Docker 저장소를 설정할 때 리눅스 버전을 자동으로 가져올 때 필요
  • software-properties-common: APT 저장소를 쉽게 추가하거나 관리하는 명령어(add-apt-repository)를 제공해. Docker 저장소 등록이나 PPA 추가할 때 사용

 

패키지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dpkg -l | grep [패키지명]

 

 

 

Docker 공식 GPG 키 다운로드

sudo mkdir -p /etc/apt/keys
  • -p : 디렉터리가 이미 존재해도 에러 없이 넘어감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 curl -fsSL

  • Docker GPG 키를 다운로드한다.
  • f (실패 시 메시지 표시)
  • s (출력 메시지 숨김)
  • L (리다이렉트를 따라가서 다운로드)

: sudo gpg --dearmor

  • 다운로드한 GPG키를 다운로드 한 GPG 키를 바이너리 형식으로 변환

: -o /usr/share/keystrings/docker-archive-keyring.gpg

  • GPG 키를 저장할 경로를 지정함

 

GPG키란?

  • "파일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인지" 확인하는 전자 서명
  •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때, 해커가 조작한 파일이 아닌지 검증할 때 사용한다.
  • Docker 설치 시 GPG 키로 패키지의 무결성과 진짜 여부를 확인한다.

 

Docker 저장소 추가

echo "deb [arch=$(dpkg --print-architecture) signed-by=/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lsb_release -cs) stable" | sudo tee /etc/apt/sources.list.d/docker.list > /dev/null
  • dpkg --print-architecture: 시스템 아키텍처(예: amd64)를 가져온다
  • signed-by : 위에서 다운 받은 GPG 키 지정
  • lsb_release -cs : 배포판 코드네임(예: jammy)을 가져온다.

 

다시한번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Docker, Docker compose 설치

sudo apt install -y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docker-buildx-plugin docker-compose-plugin
  • docker-ce : Docker 엔진 (Community Edition). 컨테이너를 생성, 실행, 관리하는 핵심 서버 컴포넌트
  • docker-ce-cli: Docker CLI (Command Line Interface). docker run, docker ps 같은 명령어를 제공하는 커맨드 라인 도구
  • containerd.io: Docker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실제로 실행시키는 저수준 런타임. 독립 실행 가능하며 Kubernetes에서도 사용된다.
  • docker-buildx-plugin: 다양한 플랫폼(arm64, amd64 등)과 고급 빌드를 지원하는 Docker 빌드 플러그인. docker buildx build 명령어를 사용 가능하게 한다.
  • docker-compose-plugin: 여러 컨테이너를 정의하고 함께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Compose 기능을 Docker CLI에 통합한 플러그인. docker compose 명령어 제공

 

 

 

[ubuntu] ufw (방화벽) 세팅하기

친환경 개발자
|2025. 10. 2. 22:24

 

 

ufw 활성화 여부 체크

 

기본적으로 EC2 인스턴스 생성하면 방화벽 설정 꺼져있음.

 

sudo ufw status

를 통해 방화벽  설정 체크할 수 있는데, inactive라는 것은 방화벽 자체가 꺼져있다는 것.

 

 

ufw 활성화 전 22번 포트 열기

포트 열기 전 ufw 활성화해버리면, MobaXterm같은 툴로 해당 EC2에 ssh 접근이 불가능 함.

따라서 ssh접근 가능하도록 최소한 22번 포트는 열어둔 후 → 방화벽 설정 켜야함!

여기선 열어야 할 포트 모두 열고 ufw 활성화할 예정.

 

sudo ufw allow <포트번호>

 

    1. ssh로 접근하기 위한 22번 포트 열기

 

    2. 웹서비스를 위한 http(80), https(443) 포트 열기

 

 

나머지 포트는??

내가 만들 서비스는 80, 443, 22포트만 외부에 노출시키고,

80 혹은 443포트로 들어오는 요청만 받은 후

Nginx 리버스프록시를 통해 내부로 요청을 분기시킬 것이다.

따라서, 외부 포트는 80, 443, 22만 열어두고 나머지 8080포트 등 다른 포트는 열지 않는다.

 

ufw 활성화

 

sudo ufw enable

 

최종 ufw 목록 확인

 

 

sudo ufw status numbered

MobaXterm 설치하기

아래 링크로 들어가 둘 중 아무거나 클릭하여 설치하기.

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ome-edition.html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

mobaxterm.mobatek.net

 

 

pem키로 ssh 접속하기

Session 클릭

 

 

 

SSH 클릭

 

 

 

 

  • host에 EC2 host pc url 입력
  • Use private key 체크 후 .pem 파일 첨부
  • OK 선택

[AWS] NACL 설정하기

친환경 개발자
|2025. 9. 5. 17:32

NACL이란

NACL ⇒ Network Access Control List

Subnet의 접근 제어를 관리한다! 문지기의 역할임은 보안 그룹과 비슷

 

 

 

 

보안 그룹과의 차이

보안그룹이 인스턴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용도라면,

NACL은 Subnet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용도이다!

 

 

 

 

VPC, Subnet, 인스턴스 무슨 차이?

  • VPC ⇒ Virtual Private Cloud 즉, 개인 당 주어지는 네트워크 공간이다. 아파트 단지 같은 개념
  • Subnet ⇒ 네트워크 공간을 작은 네트워크 단위로 쪼갠 것. 아파트 한 동(101동, 102동..) 개념
  • 인스턴스 ⇒ 네트워크 공간을 사용하는 하나의 컴퓨터. 집 한 채(203호, 204호…) 개념

 

 

 

특징

  1. 하나의 Subnet에 1개의 NACL만 할당 가능
  2. 허용 규칙 & 차단 규칙 모두 설정 가능 (↔ 보안그룹은 허용 규칙만 가능)
  3. 규칙 별 우선 순위 적용이 가능 (낮은 수일수록 높은 우선순위)
  4. 한 번 인바운드/아웃바운드를 통과한 트래픽이라도, 아웃바운드/인바운드 규칙 적용됨 (↔ 보안그룹은 적용 안됨) ⇒ statless

 

 

 

규칙 우선순위

낮은 수일수록 우선순위가 적용되어, 상충되는 규칙이 있을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규칙을 수행한다.

101번 규칙에 80포트를 허용하더라도, 100번 규칙으로 80포트를 막으면 80포트는 막힌다!

 

 

 

 

세팅하기

인바운드

  • 외부 인터넷용은 여러 클라이언트에서 모두 접근 가능하도록 해야하므로, 기본 적으로는 allow
  • 추후 차단해야 할 IP 있을 때 차단하기.
  • 보안 그룹에서 설정 철저히 해야 함.

아웃바운드

NACL은 stateless 이므로, 아웃바운드까지 함께 적용해줘야 한다!

  • 기본적으로 아웃바운드는 다 열어두는 편이라고 함.
  • 단 보통 아웃바운드의 포트가 1024~65535이므로 그렇게 설정함.
  • 그러나 초기에는 포트를 모두 열어두는게 좋음. ssh 접근해서 sudo apt update 등 세팅할 때는 포트가 열려있어야 통신 가능.

서브넷과 연결하기

[AWS] 보안그룹 설정하기

친환경 개발자
|2025. 9. 4. 23:17

보안그룹이란?

  • 인스턴스로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트래픽 (인바운드)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아웃바운드)을 관리하는 문지기 같은 역할.
  • 프로토콜 유형, 포트, IP 등 지정 가능
  • 대표 포트번호:
          http - 80
          ssh - 22
          https - 443

보안그룹 특징

  1. 허용 규칙만 가능. 특정 IP만 비허용 불가.
  2. 아웃바운드 규칙은 기본적으로 모든 트래픽 (0.0.0.0) 허용 상태.
  3. 하나의 인스턴스에 여러 보안 그룹 설정 가능
  4. 각 인스턴스에 여러 보안 그룹 할당 가능 (각 보안 그룹의 모든 룰 적용)
  5. 한 번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통과한 트래픽은 아웃바운드/인바운드 규칙 적용 X
         ⇒ stateful 하다!
         ⇒ 즉, 아웃바운드를 전부 막아놔도, 인바운드에 443 포트 신호가 들어오면 해당 포트로 응답을 함.

 

 

설정하기

인바운드 규칙

  • 웹서비스이므로 HTTP, HTTPS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받도록 우선 설정.
  • SSH를 통한 접근은 관리자(나)만 접근할 수 있도록 특정 IP만 열어두기.⇒ SSM (session manager)로 관리할 수 있음.
  • ⇒ 만약 도서관, 카페, 회사 등 여러 곳에서 접근해야 하는 경우라면 특정 IP만 열어두는게 불가능함

아웃바운드 규칙

  • 기본적으로 보안그룹은 stateful 하므로, 모든 위치로 허용한다.
  • 추후 필요할 경우에만 설정.

 

 

설정이 완료됐다면?

해당 보안 그룹을 적용하고 싶은 인스턴스에 적용하면 된다.

용도에 따라 보안 그룹을 미리 설정해두고,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바로 적용해놓자!

백준 1655: 가운데를 말해요

https://www.acmicpc.net/problem/1655

 

문제 설명

숫자를 1개씩 입력으로 주어지는데,

숫자가 주어질 때마다 그 숫자 집합에서 중간값을 출력해야 하는 문제이다.

 


내 정답 코드

내가 생각한 로직은,

 

중간에 값을 삽입하기 용이한 자료구조인 리스트를 선언한 뒤, 

 

수 입력이 주어질 때마다 정렬된 리스트에 들어가야 할 인덱스를 찾아 그 위치로 삽입하고

 

중간값을 출력하는 방식을 생각했다.

 

삽입 위치를 찾는 방식은 이분탐색을 구현하여 시간복잡도를 줄이고자 했다!

 

/*
 *  숫자가 주어질 때마다 위치 찾아 삽입.
 *  삽입 위치 찾는건 이분탐색으로.
 *  중간값은 짝수->len/2-1 홀수->len/2 
 */
public class Main {
	static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atic StringBuilder sb;
	static int N;
	static List<Integer> li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init();
		
		for (int i=0; i<N; i++) {
			int new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targetIdx = binarySearch(0, list.size()-1, newNum);
			
			list.add(targetIdx, newNum);
			
			int midIdx = list.size()/2;
			if (list.size()%2 == 0) midIdx -= 1;
			
			sb.append(list.get(midIdx)).append('\n');
		}
		
		System.out.println(sb);
	}

	private static int binarySearch(int s, int e, int target) {
		int mid = (s+e)/2;
		if (s > e) {
			return s;
		}
		
		int midNum = list.get(mid);
		if (midNum == target) {
			return mid;
		} else if(midNum < target) {
			return binarySearch(mid+1, e, target);
		} else {
			return binarySearch(s, mid-1, target);
		}
	}

	private static void init() throws IOException {
		sb = new StringBuilder();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ist = new ArrayList<>();
	}
}

 

 

결론적으로 정답은 맞았으나, 실행속도가 아쉬웠다.

 


개선 사항

원인

기존 내 코드의 실행속도가 느렸던 원인을 생각해볼 때,

 

ArrayList를 사용해 삽입하는 방식이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했다.

 

✨ Javadoc (ArrayList의 add 메서드에 대한 내용 발췌)

 

 

 

위 javadoc 내용을 보면 어레이리스트도 결국 배열이기 때문에,

 

삽입을 하려면 결국 배열처럼 해당 인덱스를 비우기 위해 이후 숫자를 모두 하나씩 미루고,

 

비워진 자리에 삽입하는 로직이기 때문에 배열 전체를 순회해야 한다.

 

사실상 시간 복잡도는 O(N2) 인 셈인 것이다.

 

 

 

그래서 대안으로 힙정렬을 생각했다.

 

PriorityQueue의 정렬방식이기도 한 힙정렬은 시간복잡도가 O(NlogN)으로 더 효율적이다.

 

 

 

개선 코드

public class Main {
    static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atic StringBuilder sb;
    static int N;

    static PriorityQueue<Integer> maxHeap;  // 최대힙 (작은 수들의 절반)
    static PriorityQueue<Integer> minHeap; // 최소힙 (큰 수들의 절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init();

        for (int i = 0; i < N; i++) {
            int x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sert(x);
            sb.append(maxHeap.peek()).append('\n'); // 항상 아래 중앙값 출력
        }

        System.out.print(sb);
    }

    private static void init() throws IOException {
        sb = new StringBuilder();
        N = Integer.parseInt(br.readLine().trim());
        maxHeap  = new PriorityQueue<>(Collections.reverseOrder()); 
        minHeap = new PriorityQueue<>();                           
    }

    private static void insert(int n) {
    		// maxheap을 우선으로 담기
        if (maxHeap.isEmpty() || n <= maxHeap.peek()) maxHeap.offer(n);
        else minHeap.offer(n);

        if (maxHeap.size() < minHeap.size()) maxHeap.offer(minHeap.poll());
        if (maxHeap.size() > minHeap.size() + 1) minHeap.offer(maxHeap.poll());

        if (!minHeap.isEmpty() && maxHeap.peek() > minHeap.peek()) {
            int a = maxHeap.poll(), b = minHeap.poll();
            maxHeap.offer(b);
            minHeap.offer(a);
        }
    }
}

 

 

 


 

개선 후 (30% 속도 향상)

 

 

배운점

기존에는 매 입력마다 정렬된 리스트에 이분 탐색으로 삽입했는데, 삽입 과정에서 배열의 뒤 원소들을 한 칸씩 밀어야 해서 O(N)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입력이 많아질수록 전체 시간 복잡도가 O(N^2)까지 치솟아 성능상 한계가 있었다.

 

이를 힙(PriorityQueue) 두 개로 관리하는 방식으로 바꾸면서, 각 입력마다 삽입·삭제 연산을 O(log N)에 처리할 수 있었고, 전체 시간 복잡도는 O(N log N)으로 크게 개선되었다.

 

다만, 다른 사람들의 200ms대 풀이를 보니 똑같이 힙을 활용하더라도 PriorityQueue 대신 배열 기반으로 직접 힙 연산을 구현해 오버헤드를 줄인 경우가 있었다. 이를 통해 단순히 자료구조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문제 상황에 맞는 세밀한 최적화와 구현 방식의 차이가 성능을 크게 좌우한다는 점을 배울 수 있었다.

EC2 인스턴스 생성

친환경 개발자
|2025. 8. 27. 19:34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EC2 인스턴스를 생성했다.

 

보안 관련 설정은 추후 하기로 하고, 우선 EC2 인스턴스만 생성해봤다.

 

 


우선 AWS Console에 들어가 로그인 후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AMI 선택

AMI: EC2 인스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보들을 모은 단위.

 

OS를 어떤 것을 쓸건지, 소프트웨어는 어떤 게 설치되는지 등의 정보를 모아 EC2를 실행할 때 사용한다.

 

나는 Ubuntu 22.04를 선택했다.

 

 

인스턴스 유형 선택

  • t3.small선택
  • 예상 요금 : 시간당 0.0209$ ⇒ 월 15$

https://aws.amazon.com/ko/ec2/instance-types/

 

클라우드 컴퓨팅 인스턴스 - Amazon EC2 인스턴스 유형 - AWS

 

aws.amazon.com

여기 EC2 성능 별 요금이 적혀있다.

 

우선 개발 단계이므로 낮은 성능의 EC2 로 선정.

 

 

키페어 생성

  • 추후 외부에서 이 EC2 인스턴스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키 개념.
  • 절대 잃어버리면 안되니 잘 보관해야 함 (잃어버리면 EC2를 새로 구축해야 함)

이름을 적당히 입력하고, RSA선택 & .pem 선택 

이후 키 페어 생성 클릭

 

보안 그룹 생성

  • 특정 IP에서만 서버에 접근하게 하는 등의 보안 설정을 할 수 있음
  • 우선은 기본으로 두고 생성. 추후 설정할 것.

 

 

스토리지(볼륨)

  • 스토리지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역할.

요금표!

 

gp2보다 gp3가 GB당 요금이 저렴하고, 성능은 더 좋다. ⇒ 무료인 3000IOPS, 125MB/s처리량으로 gp3 선택했다 !

 

  • IOPS는 초당 I/O작업수를 말하고, 처리량은 한번에 옮길 수 있는 데이터양을 말한다.
  • 예상 요금 ⇒ 0.0912$/GB * 30GB ⇒ 월 2.736$

 

인스턴스 생성 클릭

클릭하면 인스턴스 생성 완료 메세지가 뜰 것이다.

 

 

 

탄력적 IP 할당하기

EC2에서는 기본적으로 인스턴스를 다시 시작할 때마다 새로운 IP가 할당된다.

 

매번 접속 IP가 바뀐다면, 유지보수에도 번거롭고,

 

탄력적 IP를 할당하지 않거나 할당해놓고 인스턴스 중지시켜놓으면 요금이 발생하므로 반드시 할당하고 관리 주의할 것.

탄력적 IP 주소 할당 클릭

 

  • 기본적으로 선택된 값으로 두고 할당 클릭하면 바로 IP가 할당됨
  • 할당된 IP를 인스턴스와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함

 

최종 연결 확인!!

백준 16232: 아기상어

https://www.acmicpc.net/problem/16232

 

문제 설명

N×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 공간은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

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 크기는 자연수이다. 가장 처음에 아기 상어의 크기는 2이고, 아기 상어는 1초에 상하좌우로 인접한 한 칸씩 이동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큰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없고, 나머지 칸은 모두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작은 물고기만 먹을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같은 물고기는 먹을 수 없지만, 그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가 어디로 이동할지 결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더 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공간에 없다면 아기 상어는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라면, 그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보다 많다면, 거리가 가장 가까운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거리는 아기 상어가 있는 칸에서 물고기가 있는 칸으로 이동할 때, 지나야하는 칸의 개수의 최솟값이다.
    • 거리가 가까운 물고기가 많다면, 가장 위에 있는 물고기, 그러한 물고기가 여러마리라면, 가장 왼쪽에 있는 물고기를 먹는다.

아기 상어의 이동은 1초 걸리고, 물고기를 먹는데 걸리는 시간은 없다고 가정한다. 즉, 아기 상어가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있는 칸으로 이동했다면, 이동과 동시에 물고기를 먹는다. 물고기를 먹으면, 그 칸은 빈 칸이 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와 같은 수의 물고기를 먹을 때 마다 크기가 1 증가한다. 예를 들어, 크기가 2인 아기 상어는 물고기를 2마리 먹으면 크기가 3이 된다.

공간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 아기 상어가 몇 초 동안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0: 빈 칸
  • 1, 2, 3, 4, 5, 6: 칸에 있는 물고기의 크기
  • 9: 아기 상어의 위치

내 정답 코드

내가 생각한 로직은,

 

1. 지도에서 현황을 관리할 map 배열(int[][] map), 빠르게 물고기 위치에 접근하기 위한 fishes배열(ArrayList<int[]>[] fishes), 상어의 위치, 크기, 먹은 물고기 수를 관리하기 위한 shark 배열(int[] shark)을 선언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엄마 상어를 찾기 전까지 아래 작업을 반복한다.

1. 가장 가까운 타겟 선택

   - fishes 배열을 순회하며, 나보다 크기가 작은 물고기들과의 거리를 각각 bfs 작업으로 탐색한다.

   - 가장 가까우면서, 좌측 상단에 있는 물고기를 타겟으로 선정한다.

 2. 선택된 타겟이 없으면 반복 종료

 3. 해당 타겟으로 이동하여 잡아먹기

    - map에서 상어 위치 이동

    - shark배열 좌표값, 먹은 물고기 수, 크기 값 조정

    - fishes리스트에서 해당 물고기 제거

  4.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만큼 소요시간에 가산

 

public class Main {
	static StringBuilder sb;
	static int N;
	// 0: r, 1: c, 2: 크기, 3: 먹은 물고기 수
	static int[] shark = new int[4];
	// 0: r, 1: c, 2: 크기, 3: 물고기 리스트 index
	static int[] target = new int[4];
	static int[][] ma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ArrayList<int[]>[] fishe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init();

		System.out.println(simulation());
	}

	// 시뮬레이션
	private static int simulation() {
		int time = 0;

		while (true) {
			// 가장 가까운 타겟 선택
			// => 상어보다 크기 작으면서 가장 가까운 물고기
			Arrays.fill(target, 0);
			int min = 401;
			for (int i = 1; i < shark[2] && i < 7; i++) {
				for (int j=0; j<fishes[i].size(); j++) {
					int[] fish = fishes[i].get(j);
					int timeTaken = bfs(fish[0], fish[1]);
					if (timeTaken <= min) {
						if (timeTaken == min) {
							if (target[0] < fish[0])
								continue;
							else if (target[0] == fish[0]) {
								if (target[1] < fish[1])
									continue;
							}
						}
						target[0] = fish[0];
						target[1] = fish[1];
						target[2] = i;
						target[3] = j;
						min = timeTaken;
					}
				}
			}
			
			// 타겟이 없으면 종료
			if (target[2] <= 0) {
				return time;
			}

			// 타겟 있으면 해당 위치 이동 후 시간 가산
			// 물고기 먹기
			shark[3] += 1;
			fishes[target[2]].remove(target[3]);
			// 상어 위치 이동
			map[shark[0]][shark[1]] = 0;
			map[target[0]][target[1]] = 9;
			shark[0] = target[0];
			shark[1] = target[1];
			// 상어 크기 조정
			if (shark[3] >= shark[2]) {
				shark[2] += 1;
				shark[3] = 0;
			}
			// 시간 가산
			time += min;
		}
	}

	static int[] dr = { -1, 1, 0, 0 };
	static int[] dc = { 0, 0, -1, 1 };

	private static int bfs(int targetR, int targetC) {
		visited = new boolean[N][N];
		Queue<int[]> q = new ArrayDeque<>();
		// 시작지점 큐에 삽입 & 방문체크
		q.offer(new int[] { shark[0], shark[1] });
		visited[shark[0]][shark[1]] = true;

		int size = 1;
		int cnt = 0;

		while (!q.isEmpty()) {
			for (int i = 0; i < size; i++) {
				int[] curr = q.poll();
				// 목표지점 도착 시 종료
				if (curr[0] == targetR && curr[1] == targetC) {
					return cnt;
				}
				// 사방탐색
				for (int dir = 0; dir < 4; dir++) {
					int nr = curr[0] + dr[dir];
					int nc = curr[1] + dc[dir];

					// 이미 방문했거나, 범위 밖이거나, 상어보다 크기가 큰 물고기면 패스
					if (nr < 0 || nr >= N || nc < 0 || nc >= N)
						continue;
					if (visited[nr][nc])
						continue;
					if (map[nr][nc] > shark[2])
						continue;

					q.offer(new int[] { nr, nc });
					visited[nr][nc] = true;
				}
			}
			cnt += 1;
			size = q.size();
		}
		return Integer.MAX_VALUE;
	}

	private static void init()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b = new StringBuilder();

		// 물고기 크기별 좌표값 저장 배열
		fishes = new ArrayList[7];
		for (int i = 1; i <= 6; i++) {
			fishes[i] = new ArrayList<>();
		}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N];
		for (int r = 0; r < N; r++)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c = 0; c < N; c++) {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r][c] = n;

				if (1 <= n && n <= 6) {
					fishes[n].add(new int[] { r, c });
				}
				if (n == 9) {
					shark[0] = r;
					shark[1] = c;
					shark[2] = 2;
				}
			}
		}
	}
}

개선 사항

생각해보니, 모든 물고기를 대상으로 bfs를 돌릴 필요가 없었다.

상어의 현위치를 중심으로, bfs 탐색을 하다가 물고기가 걸리면, 그것을 타겟으로 하면 됐다.

결국 bfs를 1번만 하면 훨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주요 변경

  1. 우선순위 큐 사용
    • 노드(Node)를 거리 → 행 → 열 순으로 정렬하도록 구현.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가장 가까운 + 위쪽 + 왼쪽) 물고기부터 바로 선택 가능하다.
  2. 탐색 리셋 구조
    • 물고기를 먹은 순간 pq.clear() + visited 배열 재생성하여 shark의 현위치를 기준으로 새로 탐색한다.
    • 상어 위치에서 새롭게 탐색을 시작하므로, 불필요한 경로 계산을 방지한다.

 

public class Main {
    static StringBuilder sb;
    static int N;
    // shark: [0]=r, [1]=c, [2]=size, [3]=eaten
    static int[] shark = new int[4];
    static int[][] map;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init();
        System.out.println(simulation());
    }

    static class Node implements Comparable<Node> {
        int r, c, dist;
        Node(int r, int c, int dist) {
            this.r = r; this.c = c; this.dist = dist;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Node n) {
            if (this.dist != n.dist) return Integer.compare(this.dist, n.dist);
            if (this.r != n.r)       return Integer.compare(this.r, n.r);
            return Integer.compare(this.c, n.c);
        }
    }

    // 상, 좌, 하, 우  (제시 코드의 dirs와 동일 순서)
    static int[] dr = {-1, 0, 1, 0};
    static int[] dc = { 0,-1, 0, 1};

    // 제시 코드의 playGame() 로직을 네 simulation() 틀에 이식
    private static int simulation() {
        int time = 0;

        // 탐색 시작 상태
        PriorityQueue<Node> pq = new PriorityQueue<>();
        int[][] visited = new int[N][N];

        visited[shark[0]][shark[1]] = 1;
        pq.offer(new Node(shark[0], shark[1], 1));

        while (!pq.isEmpty()) {
            Node cur = pq.poll();

            // 먹을 수 있는 물고기를 만났다면 즉시 먹기
            if (map[cur.r][cur.c] != 9 && map[cur.r][cur.c] != 0 && map[cur.r][cur.c] < shark[2]) {
                time += (cur.dist - 1);

                // 상어 위치/맵 갱신
                map[shark[0]][shark[1]] = 0;
                map[cur.r][cur.c] = 9;
                shark[0] = cur.r;
                shark[1] = cur.c;

                // 먹은 수/크기 갱신
                shark[3] += 1;
                if (shark[3] == shark[2]) {
                    shark[3] = 0;
                    shark[2] += 1;
                }

                // 탐색 리셋
                pq.clear();
                visited = new int[N][N];
                visited[shark[0]][shark[1]] = 1;
                pq.offer(new Node(shark[0], shark[1], 1));

                continue; // 다음 먹이 탐색
            }

            // 사방 확장
            for (int d = 0; d < 4; d++) {
                int nr = cur.r + dr[d];
                int nc = cur.c + dc[d];

                if (nr < 0 || nr >= N || nc < 0 || nc >= N) continue;
                if (visited[nr][nc] > 0) continue;
                if (map[nr][nc] > shark[2]) continue; // 더 큰 물고기는 통과 불가

                visited[nr][nc] = visited[cur.r][cur.c] + 1;
                pq.offer(new Node(nr, nc, visited[nr][nc]));
            }
        }

        return time;
    }

    private static void init()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b = new StringBuilder();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N];
        for (int r = 0; r < N; r++)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c = 0; c < N; c++) {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r][c] = n;
                if (n == 9) {
                    shark[0] = r;
                    shark[1] = c;
                    shark[2] = 2; // 초기 크기
                }
            }
        }
    }
}

개선 전

개선 후 (약 5배 이상 빨라짐!)

 

배운점

기존에는 물고기마다 BFS를 수행해 한 번 이동할 때마다 많은 탐색이 필요했지만, 이를 BFS 한 번으로 줄여 시간 복잡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하지만 BFS 한 번으로 고쳐도 처음에는 PriorityQueue를 무작정 사용해 큐에 모든 탐색 결과를 삽입하면서 매번 정렬이 발생해 오히려 시간 초과가 났다.

따라서 PQ에 불필요하게 많은 데이터를 넣지 않고, 최소한으로 삽입되도록 로직을 구성해야 했다. 즉, BFS 레벨 단위로 탐색하고 같은 거리 내에서만 후보를 관리하면서 먹을 수 있는 물고기를 찾자마자 탐색을 종료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백준 3190: 뱀[Gold 4] / Java

친환경 개발자
|2025. 8. 14. 17:16

백준 3190: 뱀

https://www.acmicpc.net/problem/3190

 

문제 설명

'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게임은 NxN 정사각 보드위에서 진행되고, 몇몇 칸에는 사과가 놓여져 있다. 보드의 상하좌우 끝에 벽이 있다. 게임이 시작할때 뱀은 맨위 맨좌측에 위치하고 뱀의 길이는 1 이다. 뱀은 처음에 오른쪽을 향한다.

뱀은 매 초마다 이동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 먼저 뱀은 몸길이를 늘려 머리를 다음칸에 위치시킨다.
  • 만약 벽이나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 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있다면, 그 칸에 있던 사과가 없어지고 꼬리는 움직이지 않는다.
  • 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없다면, 몸길이를 줄여서 꼬리가 위치한 칸을 비워준다. 즉, 몸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사과의 위치와 뱀의 이동경로가 주어질 때 이 게임이 몇 초에 끝나는지 계산하라.


내 정답 코드

내 코드의 로직은 이렇다.

 

우선 뱀을 ArrayList<int[]> 형태로 선언하고, 뱀의 머리 좌표가 리스트의 가장 끝 인덱스에 위치시킨다.

매초마다 time으로 관리하며 게임 종료시까지 동작을 반복한다.

1. 이동 후의 뱀 머리 좌표 생성 (nr, nc)

2. 벽이나 몸통에 충돌하는지 체크

3. 이동한 칸에 사과가 있는지 체크

4. 사과 여부에 따라 꼬리 제거 or 유지

5. 회전 여부 체크

6. 시간 경과 (time+=1)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int N, K, L;
	static int[][] apples;
	static String[][] turns;
	static ArrayList<int[]> snake;
	static int[] dr = { -1, 0, 1, 0 };
	static int[] dc = { 0, 1, 0, -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init();

		int tIdx = 0; // 방향전환 배열 추적 인덱스
		int time = 1; // 시간 흐름
		int dir = 1; // 시작은 오른쪽 방향
		out: while (true) {

			int nr = snake.get(snake.size() - 1)[0] + dr[dir];
			int nc = snake.get(snake.size() - 1)[1] + dc[dir];

			// 벽 체크
			if (nr < 1 || nr > N || nc < 1 || nc > N)
				break out;
			// 몸통 충돌 체크
			for (int[] pos : snake) {
				if (pos[0] == nr && pos[1] == nc)
					break out;
			}

			// 사과 있는지 체크
			boolean hadApple = false;
			for (int[] apple : apples) {
				if (apple[2] == 1 && apple[0] == nr && apple[1] == nc) {
					apple[2] = 0;
					hadApple = true;
					break;
				}
			}

			// 사과 안먹었으면 꼬리 제거
			if (!hadApple)
				snake.remove(0);


			// 이동
			snake.add(new int[] { nr, nc });

			// 방향전환 타이밍인지 체크
			if (tIdx < turns.length && time == Integer.parseInt(turns[tIdx][0])) {
				if (turns[tIdx][1].equals("L")) {
					dir = (dir + 3) % 4;
				} else {
					dir = (dir + 1) % 4;
				}
				tIdx += 1;
			}
			
			// 시간 경과
			time += 1;
		}

		System.out.println(time);
	}

	private static void init() throws IOException {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 맨 마지막 인덱스가 뱀의 머리
		snake = new ArrayList<>(Arrays.asList(new int[] { 1, 1 }));

		K = Integer.parseInt(br.readLine());
		apples = new int[K][3];
		for (int i = 0; i < K;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apples[i][0]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pples[i][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pples[i][2] = 1; // 사과 존재 여부 체크
		}

		L = Integer.parseInt(br.readLine());
		turns = new String[L][2];
		for (int i = 0; i < L;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turns[i][0] = st.nextToken();
			turns[i][1] = st.nextToken();
		}
	}
}

개선 사항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다 보니, 내 코드에서 실행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몸통 충돌 체크 & 사과 체크

board배열을 사용해 뱀 길이 전체를 순회하는 방식에서 바로 뱀 머리 좌표만 체크하는 방식으로 개선 가능하다.

또한 사과 체크 또한 뱀 머리좌표로 한번에 조회 가능.

O(len) > O(1) 로 개선!!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int N, K, L;
	static int[][] board;
	static String[][] turns;
	static ArrayList<int[]> snake;
	static int[] dr = { -1, 0, 1, 0 };
	static int[] dc = { 0, 1, 0, -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init();

		int tIdx = 0; // 방향전환 배열 추적 인덱스
		int time = 1; // 시간 흐름
		int dir = 1; // 시작은 오른쪽 방향
		while (true) {
			int r = snake.get(snake.size() - 1)[0];
			int c = snake.get(snake.size() - 1)[1];
			int nr = r + dr[dir];
			int nc = c + dc[dir];

			// 벽 체크
			if (nr < 1 || nr > N || nc < 1 || nc > N)
				break ;
			// 몸통 충돌 체크
			if (board[nr][nc] == 1) break;

			// 사과 있는지 체크
			boolean hadApple = false;
			if (board[nr][nc] == 2) {
				hadApple = true;
				board[nr][nc] = 0;
			}

			// 사과 안먹었으면 꼬리 제거
			if (!hadApple) {
				board[snake.get(0)[0]][snake.get(0)[1]] = 0;
				snake.remove(0);
			}

			// 이동
			snake.add(new int[] { nr, nc });
			board[nr][nc] = 1;
			

			// 방향전환 타이밍인지 체크
			if (tIdx < turns.length && time == Integer.parseInt(turns[tIdx][0])) {
				if (turns[tIdx][1].equals("L")) {
					dir = (dir + 3) % 4;
				} else {
					dir = (dir + 1) % 4;
				}
				tIdx += 1;
			}
			
			// 시간 경과
			time += 1;
		}

		System.out.println(time);
	}

	private static void init() throws IOException {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board = new int[N+1][N+1];
		board[1][1] = 1;
		// 맨 마지막 인덱스가 뱀의 머리
		snake = new ArrayList<>(Arrays.asList(new int[] { 1, 1 }));

		K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i = 0; i < K;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board[Integer.parseInt(st.nextToken())][Integer.parseInt(st.nextToken())] = 2;
		}

		L = Integer.parseInt(br.readLine());
		turns = new String[L][2];
		for (int i = 0; i < L;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turns[i][0] = st.nextToken();
			turns[i][1] = st.nextToken();
		}
	}
}

배운점

메모리를 아끼려고 board 배열을 생성하지 않았었는데,

오히려 하나의 배열로 상태 관리를 하는 것이 실행속도도 향상시켰다.

 

 

  • board 하나로 사과·몸통 상태를 통합하니 판정이 O(1)로 단순해지고 코드도 깔끔해졌다.
  • ArrayList 대신 Deque를 쓰면 양방향 삽입삭제가 필요할 때 더 효율적이다.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했지만,

 

항상 다익스트라를 써야할 지,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을 써야할 지 고민하다가 다익스트라를 사용해왔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것..

 

확실히 기억해두자.

 

 

 

문제는 백준 14938번 "서강그라운드" 를 가지고 풀어보겠다.

 

간단 요약하면, 가중치가 다른 양방향 간선 그래프가 주어지고, 각 노드별로 가중치가 주어진다. 여기서 거리가 M 이내인 모든 노드들의 가중치 총합의 최대값을 찾는 문제이다.

 

여기서 문제 풀이 핵심은, 임의 노드 i에서 j로 가는 모든 노드의 최단거리를 각각 구하는 것이다.

 

이 때, i에서 j로 가는 직행 루트가 없을 수 있기도 하고, 직행 루트보다 다른 곳을 거쳐 가는게 더 저렴할 수도 있기 때문에!!

 

(1)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을 쓰거나, (2)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해 최단거리를 찾아야 한다.

 

로직 흐름

(1)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

  1. dist[i][j] 배열을 초기화한다. (자기 자신은 0, 직접 연결된 간선은 가중치, 없으면 무한대)
  2. 중간에 거칠 수 있는 노드를 하나씩 선택하면서, 거쳐가는 경로가 더 짧으면 갱신한다.

    dist[i][j] = min(dist[i][j], dist[i][k] + dist[k][j])

  3. k를 1부터 N까지 늘려가며, 경유 가능한 노드 집합을 확장한다.
  • k=1일 때: 노드 1을 경유해서 가는 모든 경로 최단거리 갱신
  • k=2일 때: 노드 1 또는 2를 경유해서 가는 경로 최단거리 갱신
  • 이를 반복하면 모든 쌍의 최단거리가 완성된다.

 

(2)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1. dist[start] = 0으로 설정하고, 나머지는 무한대로 초기화한다.
  2.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 가장 거리가 짧은 노드를 선택한다.
  3. 해당 노드의 모든 인접 노드에 대해, 현재노드까지의 거리 + 간선 가중치가 더 짧으면 갱신한다.
  4. 모든 노드를 방문할 때까지 2~3 과정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노드 5개, 시작 노드 1일 때의 dist 초기 상태는 다음과 같다.

dist = [0, 2, INF, 1, INF] (1번에서 직접 연결된 값)
  • 1번 방문 → 2번과 4번 거리 갱신
  • 다음으로 거리가 짧은 2번 방문 → 3번 거리 갱신
  • 다음으로 4번 방문 → 5번 거리 갱신
  • 이런 식으로 한 시작점에서의 최단거리를 완성한다.

 

 

시간복잡도

플로이드 워셜 : for문을 3번 돌기 때문에, O(N^3) 이다.

다익스트라 : 간선 수가 E라고 할 때, O(E logN)가 된다.

 

따라서 간선 수가 많을 수록 다익스트라는 불리해지고,

노드 수가 많을수록 플로이드 워셜이 불리해진다.

 

 

 

백준 14938 문제  예시 코드

public class Main {
	static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int N, M, R, max;
	static final int INF = Integer.MAX_VALUE;
	static int[] items;
	static int[][] dist;
	static int[][] dist_dijkstra;
	static ArrayList<Site>[] adjList;
	static class Site {
		int v;
		int l;
		public Site(int v, int l) {
			super();
			this.v = v;
			this.l = l;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init();
		
		long start = System.currentTimeMillis();
		// 플로이드 워셜
		floydWarshall();
		
		// 다익스트라
		dijkstra();
		
		// 낙하위치별 최단거리 구하기
		max = 0;
		for (int i=1; i<=N; i++) {
			int sum = items[i];
			for (int j=1; j<=N; j++) {
				if (i==j) continue;
				if (dist_dijkstra[i][j] <= M) {
//				if (dist[i][j] <= M) {
					sum += items[j];
				}
			}
			max = Math.max(max, sum);
		}
		
		System.out.println(max);
		
		long end= System.currentTimeMillis();
		System.out.println(end - start);
	}
	private static void floydWarshall() {
		// i에서 j로 가는 모든 경로에서 k를 거쳐갈 때 최단거리
		// 양방향 통행 => (i>j) == (j>i) 이므로 중복 계산 줄임
		for (int k=1; k<=N; k++) {
			for (int i=1; i<=N; i++) {
				if (dist[i][k] == INF) continue;
				for (int j=i+1; j<=N; j++) {
					if (i==j) continue;
					if (dist[k][j] == INF) continue;
					if (dist[i][j] > dist[i][k]+dist[k][j]) {
						dist[i][j] = dist[i][k]+dist[k][j];
						dist[j][i] = dist[i][j];
					}
				}
			}
		}
		
	}
	static void dijkstra() {
	    dist_dijkstra = new int[N + 1][N + 1];

	    final int INF = Integer.MAX_VALUE;

	    for (int s = 1; s <= N; s++) {
	        Arrays.fill(dist_dijkstra[s], INF);
	        dist_dijkstra[s][s] = 0;

	        // (정점, 현재까지의 거리)로 사용
	        java.util.PriorityQueue<Site> pq = new java.util.PriorityQueue<>((a, b) -> Integer.compare(a.l, b.l));
	        pq.offer(new Site(s, 0));

	        while (!pq.isEmpty()) {
	            Site cur = pq.poll();
	            int u = cur.v;
	            int d = cur.l;

	            // 이미 더 짧은 경로가 있으면 스킵
	            if (d > dist_dijkstra[s][u]) continue;

	            // 인접 정점 완화
	            for (Site nx : adjList[u]) {
	                int v = nx.v;
	                int w = nx.l;

	                // d + w 연산 전 INF 가드 (오버플로 방지용)
	                if (d != INF && d + w < dist_dijkstra[s][v]) {
	                    dist_dijkstra[s][v] = d + w;
	                    pq.offer(new Site(v, dist_dijkstra[s][v]));
	                }
	            }
	        }
	    }
	}
	private static void init() throws IOException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tems = new int[N+1];
		adjList = new ArrayList[N+1];
		for (int i=1; i<=N; i++) {
			adjList[i] = new ArrayList<>();
		}
		
		// 지역별 아이템 수 입력
		st=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i=1; i<=N; i++) {
			items[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플로이드 워셜용 배열
		dist = new int[N+1][N+1];
		for (int i=1; i<=N; i++) {
			for (int j=1; j<=N; j++) {
				if (i==j) continue;
				dist[i][j] = INF;
			}
		}
		
		// 인접 정보 리스트 입력
		for (int i=1; i<=R;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l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ist[a][b] = l;
			dist[b][a] = l;
			
			adjList[a].add(new Site(b, l));
			adjList[b].add(new Site(a, l));
		}
		
	}
}

 

 

코드가 긴데, 플로이드 워셜과 다익스트라를 모두 구현해놓아서 그렇다.

 

주석 처리를 통해 시간을 비교할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해봤다.

 

 

문제에서는 범위가 N이 100 이내이고, 간선도 100 이내라서, 실행시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가 다익스트라, 아래가 플로이드 워셜이다.

 

그래서,

N 범위를 더 크게 해서 테스트케이스를 만들어 실험해봤다!

테스트케이스는 GPT를 활용해 테스트케이스를 만드는 파이썬 코드를 생성하여 적용했다.

 

 

속도 비교 실험

1-1. 노드 수 :500개, 간선 수:120000개

 

1-2. 노드 수: 500개, 간선 수 : 60000개

 

1-3. 노드 수: 500개, 간선 수: 10000개

=> 간선 수가 줄어들수록 확실히 다익스트라는 빨라진다!!

=> 반면, 플로이드는 약간 느려졌는데, 큰 의미는 없는 수치로 보인다.

 

 

2-1. 노드 수: 1000개, 간선 수: 490000개

 

2-2. 노드 수: 1000개, 간선 수: 245000개

 

2-3. 노드 수: 1000개, 간선 수:100000개

 

2-4. 노드 수: 1000개, 간선 수:10000개

 

=> 플로이드는 O(N^3) 이므로 노드 수 500에 비해 이론상 10배 이상 실행시간이 늘어야 한다. 결과를 보면 얼추 10배 정도 나온 것으로 보인다.

=> 다익스트라는 간선 수에 비례하게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노드수 500에 비해서는 이론 상 1.1배 실행시간 늘어나야 하는데, 244 -> 621이면 꽤 많이 늘어난 것 같다.

 

 

결론!!

모든 노드 간 최단 거리를 구해야 할 때, 노드 수 500까지는 웬만하면 플로이드 워셜이 빠르다.

다익스트라가 더 빨라지는 구간은 노드 수가 1000 이상쯤부터. 다만 간선 수가 매우 적어야 한다. 완전 그래프 N*(N-1)/2 에 비해 현저히 작아야 다익스트라가 유리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