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공부, 그중에서도 파이썬 공부의 첫 시작이다.
앞으로 개발 공부를 하면서 공부한 것들을 정리하고, 다양한 개발 관련 정보들을 찾아 게시할 계획이다.
Print 함수 : 출력
가장 기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잘 진행되고 있는지, 중간에 오류가 난 것이 있는지, 오류가 발생했다면 어디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용도로 많이 활용된다.
▶기본 출력 :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사용하여 문자 출력
입력값 :
print('python start!')
print("python start!")
print('''python start!''')
print("""python start!""")
출력값 :
pyhton start!
pyhton start!
pyhton start!
pyhton start!
>>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해도 똑같이 출력된다.
※괄호 안에 아무 값도 넣지 않으면 그냥 한줄 넘어감
print()
▶ seprator 옵션: 문자열 사이를 원하는 기호로 연결
입력값 :
print('010', '1234', '4258', sep='-')
print('geun2', 'gmail.com', sep='@')
출력값 :
010-1234-4258
geun2@gmail.com
>> 전화번호를 하이폰(-) 으로 연결하고, 이메일 주소를 골뱅이(@)로 연결한다.
▶ end 옵션: 문자열 끝을 다음 행으로 넘기지 않고 연결
입력값 :
print('Welcome to', end=' ')
print("geun's blog")
출력값 :
Welcome to geun's blog
>> end 옵션에 띄어쓰기 1칸 입력하여 띄어쓰기 후 바로 다음 문자열 연결 출력됨
▶ 3가지 format 출력방법
1) %s, %d, %f 이용한 출력
입력값 :
print( 'n = %s, s = %s, sum = %d' % ( 'geun', 123456, (3+2))
출력값 :
n = geun, s = 123456, sum = 5
>>%s 자리에 geun 매칭
그다음 %s 자리에 123456 매칭
%d 자리에 3+2=5 매칭된다
2) { }.format( ) 출력
입력값 :
print('n = {n}, s={serialno}, sum={sum}'.format(n='geun', serialno=123456, sum=(2+3))
출력값 :
n = geun, s = 123456, sum = 5
>> n에 geun 값을 넣고, {serialno}에 123456 값을 넣고, {sum}에 2+3 값을 넣게 된다.
3) f' ' 출력 (f string)
입력값 :
print(f'n = {'geun'}, s={123456}, sum={2+3}')
출력값 :
n = geun, s = 123456, sum = 5
>>{ } 중괄호 자리에 바로 해당 값을 넣어 출력 가능
2, 3번 형태 즉, .format 형식과 f" " 형식을 주로 많이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