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정수, 실수, 문자열 등 다양한 자료형에 대해 공부하고,

다양한 연산 방법에 대해 공부하였다.

 

 

 

 

자료형의 종류

 

파이썬에서의 자료형 종류와 표현방법을 알아보자.

 

 

- int : 정수 (0, 1, 2 등 딱 떨어지는 숫자)

- float : 실수 (0.1 , 3.14159 등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 complex : 복소수 (실수와 허수로 표현되는 숫자. a + bi로 표현..)

- bool : 불린형 (True: 1 값을 갖고 있다. / False: 0 값을 갖고 있다.)

- str : 문자열 (따옴표 안에 넣는 문자열)

- list : 리스트(행렬과 유사, 인덱스의 집합체)

- tuple : 튜플

- set : 집합

- dict : 사전

 

자료형 확인 방법

 

 

지정한 변수나 값들이 정수형인지, 실수형인지, 문자열인지 확인하고 싶은 순간이 있다.

 

같은 "100"이라는 값도 숫자 100일 수도 있고, 문자열 100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럴 때에는 type 함수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ex)

  입력값 :

a = 100

b = "100"

print(type(a), type(b)

타입 확인 입력값

 

  출력값 : 

<class 'int'> <class 'str'>

 >>> a는 정수 100이고, b는 문자열 100임을 알 수 있다.

 

타입 확인 결과값

 

연산 종류 및 방법

수학에서 사칙연산이 있는 것처럼, 파이썬에서도 사칙연산 뿐 아니라 다양한 연산 기호들이 있다

숫자와 관련한 연산자들은 아래와 같다.

 

  • 더하기(+)
  • 빼기( - )
  • 곱하기(*)
  • 나누기(/)
  • 몫(//)
  • %(나머지)
  • abs(x) : x의 절대값
  • pow(x, y), x ** y : x의 y제곱
  • divmod(x, y) : x를 y로 나눴을 때 몫과 나머지를 구함. a, b 형태로 추출

※ 실수 입력 시, 0은 생략하여 입력할 수 있다. ex) 0.6 = .6   ,    2.0 = 2.  으로 표현 가능

 

연산 실습!

a = 3

b = 6

c = .7

d = 12.7

e = -4

이라고 할 때, 아래의 입력값을 입력하면 출력값은??

 

입력값 :

print( a + b)

print( a * b)

print( b//a)

print(type(str(d)))

print(b**a)

print(abs(e))

print(divmod(b,a))

 

 

정답 : 

9

18

2

<class 'str'>

216

4

(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