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자료형들에 대해 다루었다.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이 있는데, 그 중 문자열이 굉장히 중요하다. 모든것의 기초이기 때문이다.

 

 

문자열 변수 선언

 

str1 = "I am geun."

str2 = 'Tstory'

str3 = """How are you?"""

str4 = '''Thank you!'''

 

라고 우선 변수를 선언하자. 

 

각 변수들의 자료형은 무엇일까?

따옴표로 묶어 문자들이 모여있으므로, 문자열이다.

확인하기 위해서는, type함수를 사용하자.

<class 'str'>로 결과가 나올 것이다.

 

len(str1) :

문자열의 길이를 알고 싶다면, len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이 때, 문자열의 길이는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계산된다.

그렇다면, 

print(len(str1))을 입력했을 때 결과값은 어떻게 나올까?

띄어쓰기와 마침표를 포함하면 모두 10개이므로, 10으로 결과값이 나올 것이다.

 

Escape 코드

문자열 작성 시, 다음 줄로 넘기거나, 따옴표를 넣는 등의 표현을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 활용할 수 있는 코드이다.

 

- 역슬래시 \ :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넣고 싶을 때, 앞에 역슬래시를 넣고 따옴표를 입력하면  간섭 없이 사용 가능하다.

- \t : 탭. 문자 사이 3칸을 띄워준다

- \n : 다음 줄로 줄바꿈한다.

 

ex)

입력값 :

print("Click \tStart! \n Check!")

결과값 : 

Click   Start!
 Check!

 

 

문자열에 쓰이는 함수

- capitalize : 첫글자를 대문자로 바꿔줌

- endswith : 특정 문자로 끝나는지 여부를 확인. True / False 로 값이 나옴

- join : 문장 앞이나 뒤에 원하는 문자열 추가

- replace : 특정 문자열을 수정

- split : 특정 문자열을 기준으로 나눠줌(리스트 형식)

- sorted : 오름차순 정렬(리스트 형식)

- reversed : 역순으로 정렬(리스트 형식)

 

활용 예시

입력값 : 

print("Capitalize: ", str1.capitalize())
print("endswith?: ", str1.endswith("s"))
print("join str: ", str1.join(["I'm ", "!"]))
print("replace1: ", str1.replace('am', ' am not'))
print("replace2: ", str1.replace("am", "was"))
print("split: ", str1.split(' '))  # Type 확인
print("sorted: ", sorted(str1))  # reverse=True
print("reversed1: ", reversed(str1)) #list 형 변환
print("reversed2: ", list(reversed(str1)))

 

결과값 : 

Capitalize:  I am geun.
endswith?:  False
join str:  I'm I am geun.!
replace1:  I am not geun.
replace2:  I was geun.
split:  ['I', 'am', 'geun.']
sorted:  [' ', ' ', '.', 'I', 'a', 'e', 'g', 'm', 'n', 'u']
reversed1:  <reversed object at 0x000002711CF43F10>
reversed2:  ['.', 'n', 'u', 'e', 'g', ' ', 'm', 'a', ' ',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