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evel 0 주사위게임2

 

 

 

문제

세 주사위를 던졌을 때 나온 숫자를 각각 a, b, c라고 할 때 얻는 점수는 다음과 같다.

 

  • 세 숫자가 모두 다르면 a + b + c 점을 얻는다.
  • 두 숫자는 같고 나머지 숫자는 다르다면 (a + b + c) × (a2 + b2 + c2 )점을 얻 는다.
  • 세 숫자가 모두 같다면 (a + b + c) × (a2 + b2 + c2 ) × (a3 + b3 + c3 )점을 얻 는다.

세 정수 a, b, c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얻는 점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메서드를 작성하라.

 

 

 

 

나의 답안

 

주사위 4개인 문제의 경우처럼

 

배열을 활용하여 오름차순 정렬 후 if문을 작성했는데,

 

다른 답안들을 보니 굳이 배열을 사용할 필요 없이

 

훨씬 효율적이고 간결한 코드가 많이 존재했다..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 int b, int c) {
        int[] dice = {a, b, c};
        Arrays.sort(dice);

        if (dice[0] != dice[1] && dice[1] != dice[2]) {
            return dice[0]+dice[1]+dice[2];
        } else if (dice[0] != dice[2]) {
            return (dice[0] + dice[1] + dice[2]) * (dice[0]*dice[0] + dice[1]*dice[1] + dice[2]*dice[2]);
        } else {
            return (dice[0] + dice[1] + dice[2]) * (dice[0]*dice[0] + dice[1]*dice[1] + dice[2]*dice[2]) * (dice[0]*dice[0]*dic
e[0] + dice[1]*dice[1]*dice[1] + dice[2]*dice[2]*dice[2]);
        }
    }
}

 

 

 

 

모범 답안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 int b, int c) {
        int answer = 1;

        int count = 1;
        if(a == b || a == c || b == c) {
            count++;
        }

        if(a == b && b == c) {
            count++;
        }

        for(int i = 1; i <= count; i++) {
            answer *= (pow(a,i)+pow(b,i)+pow(c,i));
        }

        return answer;
    }

    private int pow(int a, int b) {
        if(b == 0) return 1;
        return a * pow(a, b-1);
    }
}
  • count변수를 생성하여, 단계별로 제곱 수를 결정하도록 함
  • pow메서드를 재귀함수로 별도로 선언하여 간결성 및 효율성 제고

 

상황에 따라 제곱과 세제곱이 사용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정말 영리하게 작성된 코드라는 생각이 든다.

나는 언제쯤 저렇게 생각할 수 있을까..

 

 

복습

      재귀함수

  • 자신의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
  • 반복적 연산 시 효율성을 위해 주로 사용
// 팩토리얼 구하는 메서드 작성

public int factorial(int n) {

    if (n == 0 || n == 1) {       // 종료 조건(Base Case)
        return 1;
    }
    
    return n * factorial(n - 1);     // 자기 자신 호출(Recursive Ca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