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 정수 (int, long)

 

int의 표현범위는 -2147483648  ~  2147483647이고,

 

long의 표현범위는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이다.

 

long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값 뒤에 접미사로 L자를 붙여야 함

 

  예시)

    long countOfRice = 378239473284034230L;

 

byte와 short도 있으나 표현 범위가 작아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 실수 (floag, double)

 

float의 표현범위 : -3.4 * 10^38  ~  3.4 * 10^38

 

double의 표현범위 :  -1.7 * 10^308  ~  1.7 * 10^308

 

double이 기본형으로, float를 사용하려면 f가 붙어야 한다.

 

  예시)

    float pi = 3.14F;

 

 

- 증감연산자

 

i ++ : i값에 +1

i --  : i값에 -1

 

예제) 실행결과? 

int i = 0;

System.out.println(i++);

System.out.println(i);

System.out.println(++i);

 

답) 

0

1

2

 

*  i++은 i값 참조 후 +1, ++i는 +1 한 후 참조

 

 

 

 

불(boolean)

boolean으로 선언하며, True 혹은 False 값을 갖는 자료형!

 

boolean isSuccess = true;

 

위의 방식으로 변수 선언

 

예제) 실행결과? 

int a = 145;

int b = 140;

 

boolean isTrue = a > b;

System.out.println(isTrue);

 

답) 

True

 

※ 조건문 활용

int base = 180;
int height = 185;
boolean isTall = height > base;  // True

if (isTall) {
    System.out.println("키가 큽니다.");
}

 

 

 

 

문자

 

char 형태로, 문자열과는 다름!

 

문잣값 앞뒤를 작은따옴표로 감싸줘야 함

char a1 = 'a';   // 문자로 표현
char a2 = 97;    // 아스키코드로 표현
char a3 = '\u0061';   // 유니코드로 표현

 

알파벳 a는 아스키코드로 97, 유니코드로 \u0061 이다.

따라서 위의 실행 결괏값은 모두 a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