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 디지털 영역에서 원본 저작물에 부여된 법적 권리를 보호
  • 음악, 영화, 소프트웨어, 문서, 이미지 등 다양한 디지털 형태의 저작물을 포함하며, 복제, 배포, 공연, 전송 등을 통제할 권리를 창작자에 부여

 

사례

1.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Spotify, Youtube Music 등의 플랫폼은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음악을 스트리밍하도록 함.

 

2. 동영상 플랫폼: Youtube

 

3. 전자책 플랫폼: Amazon Kindle 등. 저작권 보호를 통해 불법 복제 예방하며 창작물 판매

 

4.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수정하고 개선할수 있도록 하여 협업과 혁신을 촉진

 

문제점

 

1. 불법 복제: 쉽게 복제, 배포가 가능한 디지털 저작물 특성상, 저작권 보호가 쉽지 않음.

 

2. 국제적 규제 복잡성: 국가별 법률과 규정이 달라 국제적인 저작권 보호가 어려움

 

3. 저작권 침해 판별의 어려움: AI가 제작한 제작물을 저작권으로 인정 가능한지, 저작물의 불법적 배포의 근원이 어디인지
                                                등 명확한 침해 판별이 어려움

 

4. 생성형 AI 저작권 침해 문제: 인터넷 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하는 AI가 창작한 저작물은 저작권 침해의 위험이 있음.

 

해결방안

 

1. 법적 규제 강화: AI기술로 창작된 컨텐츠에 워터마크 의무화 등의 규제 필요

 

2. 올바른 데이터 활용: 생성형AI 학습 시 저작권 문제가 해결된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저작권 문제 해결

 

3. 플랫폼 책임 강화: 유튜브, 페이스북 등 주요 플랫폼 차원에서 딥페이크 콘텐츠 감지 및 차단하는 시스템을 강화

 

4. AI복제 방지 기술: AI 데이터 학습에 사용될 때 원본과 다른 형태로 보이게 하는 기술 개발 (시카고 대학교 글레이즈팀)

 

5. NFT 기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NFT를 통해 창작물의 소유권 주장 가능. 복제 시 저작권 침해 여부 파악이 용이

 

 

 

관련 뉴스

https://ditoday.com/ai-%EC%8B%9C%EB%8C%80-%EB%94%94%EC%9E%90%EC%9D%B8-%EC%A0%80%EC%9E%91%EA%B6%8C-%EC%96%B4%EB%94%94%EA%B9%8C%EC%A7%80-%EC%99%94%EB%82%98/

 

AI 시대 디자인 저작권, 어디까지 왔나 - DIGITAL iNSIGHT 디지털 인사이트

AI 저작권 논의 첨예... 합리적인 저작권 법 만들어져야

ditoday.com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516_0002737197&cID=10701&pID=10700

 

저작권보호원, 한-태국 저작권포럼…"K-콘텐츠, 전략적 협력"

[서울=뉴시스]조수원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와 태국 지식재산청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저작권보호원이 주관하는 '2024 한-태 저작권 포럼'이 16일(현지시간) 태국 방콕에서 개최됐다

www.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