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 공간, 환경, 공정 등을 가상 디지털 공간에 그대로 구현하는 기술
- 실물 대신 가상화된 디지털 트윈을 만들어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실물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사물인터넷(IoT), 센서, 초고속 통신 등 기술을 결합해 실시간으로 사물의 상태 반영 가능
활용 종류
1. 제조업: 공장 내 시스템, 재고 등을 가상 디지털 공간에 구현하여 효율성 추구
2. 물류업 : 물건의 무게, 크기 등을 데이터화. 미리 저장 공간을 설계하여 효율적 사용 가능
- 아마존: 각 상품의 위치, 수량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필요한 아이템 신속하게 찾고 재고 수준 예측하여 효율적 관
3. 도시 기획,관리: 도시와 그 안의 사회를 복제하여 각종 데이터 실시간 분석 및 예측하여 효율적 도시 설계 가능
- 핀란드 헬싱키: 스쿠터 사용자가 도시 내 도로 상황 데이터 수집하여 대기오염 정보와 안전 경로 찾아줌
- 버추얼 싱가포르: 국가 전체를 디지털 트윈으로 구축하여 신도시 기획, 교통인프라 개선 등 다양한 도시 문제 해
4. 에너지: 엔진을 특정 위치에 맞게 구성, 부품 마모 정도를 실시간 점검, 설비 고장 여부 예방 점검
장점
1. 시뮬레이션 가능: 실제 장비나 공정을 변경하면 발생할 문제들을 미리 테스트, 검토하여 시간적, 경제적 손실 최소화
2. 돌발 사고 최소화: 위험성이 있는 작업 현장에서 사람이 직접 작업하는 것을 대체
3. 생산성 증가: 효율적 자원 관리 최적화로 운영비 절감, 생산효율 증가
4. 불량률 감소: 최적화된 공정을 적용하도록 유도하여 불량률 감소
단점, 문제점
1. 데이터 보안: 회사 운영 상 중요한 정보의 노출 가능성이 있음
2. 개인정보 문제: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불가피하게 포함될 수 있음
3. 높은 초기 비용: 고해상도 센처,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등 인프라 비용이 높
4. 데이터 정확성: 데이터 품질에 의존하다 보니 데이터 품질에 따라 데이터 정확성이 달라지고, 운영에 심각한 문제 야기할 수 있다.
해결방안
1. 데이터 공유 및 활용 확대: 데이터 공율 플랫폼 구축, 데이터 표준 개발 등을 통해 데이터 공유 및 활용하여 구축 효율성 제고
2. 개인정보 포함 데이터는 익명화
3. 정부 및 기업 지원: 정부의 연구 지원 사업, 기업 투자 유치 등을 통해 초기 투자 비용 확보
4. 단계적 구축: 초기 단계에는 핵심 기능만 구현하고, 필요에 따라 점진적 추가하여 초기 투자 비용 절약
5. 다양한 데이터 소스 활용, 데이터 수집 방법의 정의 및 문서화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313_0002659172
정부,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2곳 공모…올해 100억 지원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정부가 가상공간의 3D 모델을 활용해 실제 세계의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서비스를 구현할 시범구역 공모에 나선다
www.newsis.com
https://m.ddaily.co.kr/page/view/2024052918520343516
[디지털 제조혁신]<하>스마트 제조 핵심, ‘디지털 트윈’으로 보는 혁신 가능성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디자이너’로 생성한 디지털 트윈 이...
m.ddaily.co.kr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40110500164
[메타버스와 웹3.0이 여는 새로운 세상 (24)]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어디까지 왔나? ①
메타버스와 웹3.0이 디지털경제의 새로운 화두로 부상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들이 다양한 모습으로 탄생하며 새로운 인터넷 세상을 열고 있다. 그렇다면, 메타버스와 웹3.0을 표방
www.news2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