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공부 3 : 자료형 - 숫자, 불, 문자
숫자 - 정수 (int, long) int의 표현범위는 -2147483648 ~ 2147483647이고, long의 표현범위는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이다. long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값 뒤에 접미사로 L자를 붙여야 함 예시) long countOfRice = 378239473284034230L; byte와 short도 있으나 표현 범위가 작아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 실수 (floag, double) float의 표현범위 : -3.4 * 10^38 ~ 3.4 * 10^38 double의 표현범위 : -1.7 * 10^308 ~ 1.7 * 10^308 double이 기본형으로, float를 사용하려면 f가..
2024.01.16
no image
자바 공부 2 : 코드 구조, 변수, 자료형, 주석, 이름 지을 때 규칙
자바 코드의 구조 가장 바깥에 클래스블록, 그 안에 메서드 블록이 있으며, 메서드 블록 안에는 명령문이 들어가게 된다. * static : 메서드에 static 키워드가 붙으면 객체를 만들지 않아도 '클래스명.메서드명' 형태로 호출 가능하다 ** 클래스명은 자바 파일명과 동일해야함! 변수와 자료형 변수는 값을 넣을 수 있는 빈 상자와 같음 변수 선언 시에는 반드시 자료형을 지정해줘야 한다. 예시 ) int C; >> 정수의 자료형을 가진 변수 C를 지정 String S; >> 문자열의 자료형태를 가진 변수 S를 지정 변수 이름 지을 때 주의사항 1) 숫자로 시작 X 2) _와 $ 이외의 특수문자 X 3) 자바의 키워드(int, class 등)는 변수명으로 X 사용자가 자료형을 직접 만들 수도 있다. Ch..
2024.01.15
no image
자바 공부 1 : 자바 언어 특징, 자바란?
자바 특징 자바는 1995년에 썬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언어이다. 오라클 사에서 2010년 썬마이크로시스템즈를 인수하면서 현재는 오라클이 Java의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특히 사용 빈도가 높으며, 특히 백엔드 개발자로 우리나라에서 일하고자 한다면, 거의 필수로 공부해야 할 언어이다. 자바 특징 1) 간단하다 2) 객체지향적이다 3)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4) 강력하다 5) 안전하다 6) 플랫폼이 독립적이다 7) 멀티 스레드를 지원한다 8) 동적이다 자바로 하는 일 - 웹 프로그래밍 : 서블릿, JSP, 스프링 프레임워크 활용하여 백엔드 개발에 특히 많이 쓰임. -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함께 개발 - 데이터베이스 처리 - 빅데이터 및 분산..
2024.01.14
파이썬 문자열(str)과 관련된 기초 지식
이전 글에서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자료형들에 대해 다루었다.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이 있는데, 그 중 문자열이 굉장히 중요하다. 모든것의 기초이기 때문이다. 문자열 변수 선언 str1 = "I am geun." str2 = 'Tstory' str3 = """How are you?""" str4 = '''Thank you!''' 라고 우선 변수를 선언하자. 각 변수들의 자료형은 무엇일까? 따옴표로 묶어 문자들이 모여있으므로, 문자열이다. 확인하기 위해서는, type함수를 사용하자. 로 결과가 나올 것이다. len(str1) : 문자열의 길이를 알고 싶다면, len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이 때, 문자열의 길이는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계산된다. 그렇다면, print(len(str1))을 입력했을 때 결과값은 어..
2024.01.14
no image
파이썬 자료형 종류, 연산자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정수, 실수, 문자열 등 다양한 자료형에 대해 공부하고, 다양한 연산 방법에 대해 공부하였다. 자료형의 종류 파이썬에서의 자료형 종류와 표현방법을 알아보자. - int : 정수 (0, 1, 2 등 딱 떨어지는 숫자) - float : 실수 (0.1 , 3.14159 등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 complex : 복소수 (실수와 허수로 표현되는 숫자. a + bi로 표현..) - bool : 불린형 (True: 1 값을 갖고 있다. / False: 0 값을 갖고 있다.) - str : 문자열 (따옴표 안에 넣는 문자열) - list : 리스트(행렬과 유사, 인덱스의 집합체) - tuple : 튜플 - set : 집합 - dict : 사전 자료형 확인 방법 지정한 변수나 값들이 ..
2023.12.17
변수 선언 (feat. 예약어)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변수를 선언하고 그 변수에 값을 집어넣을 수 있다. 예를 들면 n = 2라고 입력하면 n이라는 문자에 2라는 값을 집어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선언하고 나면, 앞으로 "n은 2와 같다"라고 프로그램은 인식하게 된다. 변수 사용 변수선언 시, 숫자로 시작하지만 않는다면 대부분의 문자열을 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예약어라고 하는 미리 정해둔 용도가 있는 단어는 변수로 선언할 수 없다. 예약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예약어의 종류 : False, def, if, raise, None, del, import, return, True, dlif, in, try, and, else, is, while, as, excpt, lambda, with, assert, finally, nonl..
2023.12.14
no image
파이썬 Print 사용법 - sep, end, format 옵션
개발 공부, 그중에서도 파이썬 공부의 첫 시작이다. 앞으로 개발 공부를 하면서 공부한 것들을 정리하고, 다양한 개발 관련 정보들을 찾아 게시할 계획이다. Print 함수 : 출력 가장 기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잘 진행되고 있는지, 중간에 오류가 난 것이 있는지, 오류가 발생했다면 어디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용도로 많이 활용된다. ▶기본 출력 :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사용하여 문자 출력 입력값 : print('python start!') print("python start!") print('''python start!''') print("""python start!""") 출력값 : pyhton start! pyhton start! pyhton start! pyhton start..
2023.12.13

 

 

숫자

- 정수 (int, long)

 

int의 표현범위는 -2147483648  ~  2147483647이고,

 

long의 표현범위는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이다.

 

long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값 뒤에 접미사로 L자를 붙여야 함

 

  예시)

    long countOfRice = 378239473284034230L;

 

byte와 short도 있으나 표현 범위가 작아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 실수 (floag, double)

 

float의 표현범위 : -3.4 * 10^38  ~  3.4 * 10^38

 

double의 표현범위 :  -1.7 * 10^308  ~  1.7 * 10^308

 

double이 기본형으로, float를 사용하려면 f가 붙어야 한다.

 

  예시)

    float pi = 3.14F;

 

 

- 증감연산자

 

i ++ : i값에 +1

i --  : i값에 -1

 

예제) 실행결과? 

int i = 0;

System.out.println(i++);

System.out.println(i);

System.out.println(++i);

 

답) 

0

1

2

 

*  i++은 i값 참조 후 +1, ++i는 +1 한 후 참조

 

 

 

 

불(boolean)

boolean으로 선언하며, True 혹은 False 값을 갖는 자료형!

 

boolean isSuccess = true;

 

위의 방식으로 변수 선언

 

예제) 실행결과? 

int a = 145;

int b = 140;

 

boolean isTrue = a > b;

System.out.println(isTrue);

 

답) 

True

 

※ 조건문 활용

int base = 180;
int height = 185;
boolean isTall = height > base;  // True

if (isTall) {
    System.out.println("키가 큽니다.");
}

 

 

 

 

문자

 

char 형태로, 문자열과는 다름!

 

문잣값 앞뒤를 작은따옴표로 감싸줘야 함

char a1 = 'a';   // 문자로 표현
char a2 = 97;    // 아스키코드로 표현
char a3 = '\u0061';   // 유니코드로 표현

 

알파벳 a는 아스키코드로 97, 유니코드로 \u0061 이다.

따라서 위의 실행 결괏값은 모두 a로 나온다.

자바 코드의 구조

가장 바깥에 클래스블록, 그 안에 메서드 블록이 있으며, 메서드 블록 안에는 명령문이 들어가게 된다.

 

 * static : 메서드에 static 키워드가 붙으면 객체를 만들지 않아도 '클래스명.메서드명' 형태로 호출 가능하다

 

 ** 클래스명은 자바 파일명과 동일해야함!

 

변수와 자료형

변수는 값을 넣을 수 있는 빈 상자와 같음

 

변수 선언 시에는 반드시 자료형을 지정해줘야 한다.

 

예시 )

int C;  >> 정수의 자료형을 가진 변수 C를 지정

String S; >> 문자열의 자료형태를 가진 변수 S를 지정

 

 

 

변수 이름 지을 때 주의사항

1) 숫자로 시작 X 

2) _와 $ 이외의 특수문자 X

3) 자바의 키워드(int, class 등)는 변수명으로 X

 

 

 

사용자가 자료형을 직접 만들 수도 있다.

Chapter2라는 클래스를 만들었다면, Chapter2라는 자료형의 변수를 만들 수 있다.

 

예시)

class Chapter2 {

    Chapter2 SG;         // Chapter2라는 자료형을 가진 변수 SG 선언

}

 

 

이름 짓는 규칙

 

● 클래스 이름 지을 때

  - 명사로 할 것

  - 대문자로 시작할 것

  - 파스칼케이스 (각 단어의 첫 글자 대문자)

 

  예시)

  class Star {}

  class ChocoCookie{}

 

 

 

  메서드 이름 지을 때

  - 동사로 할 것

  - 소문자로 시작

  - 카멜케이스 (맨 첫 글자 제외한 각 단어 첫글자 대문자)

 

  예시)

  run();

  runFast();

  getBackground();

 

 

 

 

  변수 이름 지을 때

  - 짧게

  - 누구나 의미 알 수 있게

  - 순서 의미 : i, j, k, m, n

  - 문자 의미 : c, d, e

  - 시작 문자로 _와 $ 사용은 지양

 

  예시)

 String userName;

 float lineWidth;

 int i;   // 주로 반복문에서 씀

 char c;     // 주로 반복문에서 씀

 

 

주석

  블록 주석 :   /*        */

블록 단위로 설명 필요할 때

 

  라인 주석 :   //

코드 한 줄에 대해 설명할 때

 

* 코드를 바꾸면 주석도 함께 바꿔라

 

 

자바 특징

 

자바는 1995년에 썬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언어이다.

오라클 사에서 2010년 썬마이크로시스템즈를 인수하면서 현재는 오라클이 Java의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특히 사용 빈도가 높으며, 

특히 백엔드 개발자로 우리나라에서 일하고자 한다면, 거의 필수로 공부해야 할 언어이다.

 

 

자바 특징

1) 간단하다 

2) 객체지향적이다

3)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4) 강력하다

5) 안전하다

6) 플랫폼이 독립적이다

7) 멀티 스레드를 지원한다

8) 동적이다

 

자바로 하는 일

  - 웹 프로그래밍 : 서블릿, JSP, 스프링 프레임워크 활용하여 백엔드 개발에 특히 많이 쓰임.

  -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함께 개발

  - 데이터베이스 처리

  - 빅데이터 및 분산처리

 

자바로 하지 않는일

  -  iOS 앱 개발

  - 시스템 프로그래밍에는 C, C++ 등 Low Level 언어가 더 적합

 

 

 

자바 구동 방식

우리가 작성하여 저장하는 자바파일은 .java의 확장자를 가지고 있음

 

이것을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기계어로 바꾸는 컴파일하여 .class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거치고 (1단계)

 

컴파일된 .class 파일을 실행하는 단계를 거침 (2단계)

 

 

 

 

자바 설치 방법

 

JDK 설치

 

자바 코드 작성하고, 소스를 컴파일하기 위한 필수 도구

https://www.oracle.com/kr/java/technologies/downloads/

 

Download the Latest Java LTS Free

Subscribe to Java SE and get the most comprehensive Java support available, with 24/7 global access to the experts.

www.oracle.com

 

 

IDE 설치- 인텔리제이

 

IDE :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개발환경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도와주는 도구

 

https://www.jetbrains.com/ko-kr/idea/download

 

최고의 Java 및 Kotlin IDE인 IntelliJ IDEA를 다운로드하세요

 

www.jetbrains.com

 

 

이전 글에서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자료형들에 대해 다루었다.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이 있는데, 그 중 문자열이 굉장히 중요하다. 모든것의 기초이기 때문이다.

 

 

문자열 변수 선언

 

str1 = "I am geun."

str2 = 'Tstory'

str3 = """How are you?"""

str4 = '''Thank you!'''

 

라고 우선 변수를 선언하자. 

 

각 변수들의 자료형은 무엇일까?

따옴표로 묶어 문자들이 모여있으므로, 문자열이다.

확인하기 위해서는, type함수를 사용하자.

<class 'str'>로 결과가 나올 것이다.

 

len(str1) :

문자열의 길이를 알고 싶다면, len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이 때, 문자열의 길이는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계산된다.

그렇다면, 

print(len(str1))을 입력했을 때 결과값은 어떻게 나올까?

띄어쓰기와 마침표를 포함하면 모두 10개이므로, 10으로 결과값이 나올 것이다.

 

Escape 코드

문자열 작성 시, 다음 줄로 넘기거나, 따옴표를 넣는 등의 표현을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 활용할 수 있는 코드이다.

 

- 역슬래시 \ :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넣고 싶을 때, 앞에 역슬래시를 넣고 따옴표를 입력하면  간섭 없이 사용 가능하다.

- \t : 탭. 문자 사이 3칸을 띄워준다

- \n : 다음 줄로 줄바꿈한다.

 

ex)

입력값 :

print("Click \tStart! \n Check!")

결과값 : 

Click   Start!
 Check!

 

 

문자열에 쓰이는 함수

- capitalize : 첫글자를 대문자로 바꿔줌

- endswith : 특정 문자로 끝나는지 여부를 확인. True / False 로 값이 나옴

- join : 문장 앞이나 뒤에 원하는 문자열 추가

- replace : 특정 문자열을 수정

- split : 특정 문자열을 기준으로 나눠줌(리스트 형식)

- sorted : 오름차순 정렬(리스트 형식)

- reversed : 역순으로 정렬(리스트 형식)

 

활용 예시

입력값 : 

print("Capitalize: ", str1.capitalize())
print("endswith?: ", str1.endswith("s"))
print("join str: ", str1.join(["I'm ", "!"]))
print("replace1: ", str1.replace('am', ' am not'))
print("replace2: ", str1.replace("am", "was"))
print("split: ", str1.split(' '))  # Type 확인
print("sorted: ", sorted(str1))  # reverse=True
print("reversed1: ", reversed(str1)) #list 형 변환
print("reversed2: ", list(reversed(str1)))

 

결과값 : 

Capitalize:  I am geun.
endswith?:  False
join str:  I'm I am geun.!
replace1:  I am not geun.
replace2:  I was geun.
split:  ['I', 'am', 'geun.']
sorted:  [' ', ' ', '.', 'I', 'a', 'e', 'g', 'm', 'n', 'u']
reversed1:  <reversed object at 0x000002711CF43F10>
reversed2:  ['.', 'n', 'u', 'e', 'g', ' ', 'm', 'a', ' ', 'I'] 

 

오늘은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정수, 실수, 문자열 등 다양한 자료형에 대해 공부하고,

다양한 연산 방법에 대해 공부하였다.

 

 

 

 

자료형의 종류

 

파이썬에서의 자료형 종류와 표현방법을 알아보자.

 

 

- int : 정수 (0, 1, 2 등 딱 떨어지는 숫자)

- float : 실수 (0.1 , 3.14159 등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 complex : 복소수 (실수와 허수로 표현되는 숫자. a + bi로 표현..)

- bool : 불린형 (True: 1 값을 갖고 있다. / False: 0 값을 갖고 있다.)

- str : 문자열 (따옴표 안에 넣는 문자열)

- list : 리스트(행렬과 유사, 인덱스의 집합체)

- tuple : 튜플

- set : 집합

- dict : 사전

 

자료형 확인 방법

 

 

지정한 변수나 값들이 정수형인지, 실수형인지, 문자열인지 확인하고 싶은 순간이 있다.

 

같은 "100"이라는 값도 숫자 100일 수도 있고, 문자열 100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럴 때에는 type 함수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ex)

  입력값 :

a = 100

b = "100"

print(type(a), type(b)

타입 확인 입력값

 

  출력값 : 

<class 'int'> <class 'str'>

 >>> a는 정수 100이고, b는 문자열 100임을 알 수 있다.

 

타입 확인 결과값

 

연산 종류 및 방법

수학에서 사칙연산이 있는 것처럼, 파이썬에서도 사칙연산 뿐 아니라 다양한 연산 기호들이 있다

숫자와 관련한 연산자들은 아래와 같다.

 

  • 더하기(+)
  • 빼기( - )
  • 곱하기(*)
  • 나누기(/)
  • 몫(//)
  • %(나머지)
  • abs(x) : x의 절대값
  • pow(x, y), x ** y : x의 y제곱
  • divmod(x, y) : x를 y로 나눴을 때 몫과 나머지를 구함. a, b 형태로 추출

※ 실수 입력 시, 0은 생략하여 입력할 수 있다. ex) 0.6 = .6   ,    2.0 = 2.  으로 표현 가능

 

연산 실습!

a = 3

b = 6

c = .7

d = 12.7

e = -4

이라고 할 때, 아래의 입력값을 입력하면 출력값은??

 

입력값 :

print( a + b)

print( a * b)

print( b//a)

print(type(str(d)))

print(b**a)

print(abs(e))

print(divmod(b,a))

 

 

정답 : 

9

18

2

<class 'str'>

216

4

(2, 0)

변수 선언 (feat. 예약어)

친환경 개발자
|2023. 12. 14. 21:53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변수를 선언하고 그 변수에 값을 집어넣을 수 있다.

 

예를 들면 n = 2라고 입력하면 n이라는 문자에 2라는 값을 집어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선언하고 나면, 앞으로 "n은 2와 같다"라고 프로그램은 인식하게 된다.

 

 

 

 

변수 사용

 

변수선언 시, 숫자로 시작하지만 않는다면 대부분의 문자열을  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예약어라고 하는 미리 정해둔 용도가 있는 단어는 변수로 선언할 수 없다. 

 

예약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예약어의 종류 :

False, def, if, raise, None,

del, import, return, True,

dlif, in, try, and,

else, is, while, as,

excpt, lambda, with, assert,

finally, nonlocal, yield, break,

for, not, class, from,

or, continue, global, pass

 

 

굉장히 종류가 많다. 한번에 외울 필요는 없고, 차차 하나씩 머리에 들어갈 것이다.

 

 

 

 

변수 선언 방법

 

기본적으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등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n = 2

 

여러 개의 변수를 동시에 선언할 수도 있다.

 

x = y = z = "geun's blog"

 

 

이때, x, y, z 세 변수의 값은 동일하고,

모두 하나의 값, 하나의 변수로 인식된다.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id() 함수를 사용하는 것!

(숫자로 이루어진 고윳값을 알려준다.)

 

입력값 :

a = b = c = "geun's blog"

print(a, b, c)

print(id(a), id(b), id(c))

 

출력값 : 

geun's blog geun's blog geun's blog

2020623362928 2020623362928 2020623362928

>>> 고유 값이 같은 것으로 보아 모두 동일한 개체(?)로 볼 수 있다.

 

 

 

 

 

 

변수 쓸 때 팁

 

변수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실력을 짐작할 수 있다고 한다.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

 

Camel Case, Pascal Case, Snake Case로 나뉜다.

파이썬에서는, 주로 Snake Case를 많이 사용한다.

 

1. Came Case : 첫글자는 소문자, 그 뒤부터는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

ex) numberOfCollegeGraduates

 

2. Pascal Case : 첫글자부터 단어의 첫 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표기

ex) NumberOfCollegeGraduates

 

3. Snake Case : 파이썬에서 주로 사용함. 밑줄(_)로 단어와 단어를 연결 뱀 모양과 같아 SnakeCase이다.

ex) number_of_college_graduates

 

 

개발 공부, 그중에서도 파이썬 공부의 첫 시작이다.

 

앞으로 개발 공부를 하면서 공부한 것들을 정리하고, 다양한 개발 관련 정보들을 찾아 게시할 계획이다.

 

 

 

Print 함수 : 출력

가장 기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잘 진행되고 있는지, 중간에 오류가 난 것이 있는지, 오류가 발생했다면 어디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용도로 많이 활용된다.

 

 

▶기본 출력 :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사용하여 문자 출력

 

  입력값 :

print('python start!')

print("python start!")

print('''python start!''')

print("""python start!""")

 

  출력값 :

pyhton start!

pyhton start!

pyhton start!

pyhton start!

 

>>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해도 똑같이 출력된다.

※괄호 안에 아무 값도 넣지 않으면 그냥 한줄 넘어감

print()

 

seprator 옵션: 문자열 사이를 원하는 기호로 연결

 

  입력값 :  

print('010', '1234', '4258', sep='-')

print('geun2', 'gmail.com', sep='@')

 

출력값 :

010-1234-4258

geun2@gmail.com

 

>> 전화번호를 하이폰(-) 으로 연결하고, 이메일 주소를 골뱅이(@)로 연결한다.

 

 

 

end 옵션: 문자열 끝을 다음 행으로 넘기지 않고 연결

 

  입력값 :

print('Welcome to', end=' ')

print("geun's blog")

 

  출력값 :

Welcome to geun's blog

 

>> end 옵션에 띄어쓰기 1칸 입력하여 띄어쓰기 후 바로 다음 문자열 연결 출력됨

 

 

3가지 format 출력방법

 

1) %s, %d, %f 이용한 출력

  입력값 :

print( 'n = %s, s = %s, sum = %d' % ( 'geun', 123456, (3+2))

 

  출력값 :

n = geun, s = 123456, sum = 5

 

>>%s 자리에 geun 매칭

     그다음 %s 자리에 123456 매칭

     %d 자리에 3+2=5 매칭된다 

 

2) { }.format( ) 출력

  입력값 :

print('n = {n}, s={serialno}, sum={sum}'.format(n='geun', serialno=123456, sum=(2+3))

 

  출력값 :

n = geun, s = 123456, sum = 5

 

>> n에 geun 값을 넣고, {serialno}에 123456 값을 넣고, {sum}에 2+3 값을 넣게 된다.

 

3) f' ' 출력 (f string)

  입력값 :

print(f'n = {'geun'}, s={123456}, sum={2+3}')

 

  출력값 :

n = geun, s = 123456, sum = 5

 

>>{ } 중괄호 자리에 바로 해당 값을 넣어 출력 가능

 

 

2, 3번 형태 즉, .format 형식과 f" " 형식을 주로 많이 사용한다!